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(표)을 보실 수 있습니다.
프로그램 | 이용대상 | 서비스 내용 | 요일/시간 |
---|---|---|---|
직업상담 | 구직장애인 | 구직장애인의 욕구수렴 및 직업재활 방향의 기초 자료 수집 | 연중 |
직업평가 | 구직장애인 | 직업재활서비스의 적격성 판정, 직업적수준 판별을 위한 기준 마련(기초평가, 심리평가, 작업표본평가 등) | 연중 |
재활계획수립 |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장애인 |
구직장애인의 자립능력을 활성화하며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계획하고 실천 | 연중 |
사례회의 |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장애인 |
서비스 이용 및 변경, 종결, 문제 및 욕구 해결 등 사례관리로 이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 제공 | 연중 |
취업 전 교육 | 구직장애인 | 구직자를 대상으로 취업 전 교육을 실시하여 취업률 향상 도모 | 연중 |
취업알선 | 구직장애인 | 취업알선(동행면접)을 통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 | 연중 |
지원고용 및 현장훈련 |
구직장애인 | 지역사회 사업체에서 일정기간동안 업체의 현장에서 직무지도원과 함께 현장훈련을 통해 장애인의 취업지원 | 연중 |
취업후 적응지원 |
근로장애인 | 근로계약체결 이후 근로 장애인의 직무수행상황과 근무상태 등을 점검하여 원활한 직장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 | 연중 |
사업주 지원 | 사업체 고용주 외 | 사업체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장애인 고용을 유도하고 근로장애인 직장적응을 지원 | 연중 |
업체개발 | 사업체 | 사업체 내 직무를 분석하여 장애인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직종개발 | 연중 |
직업적응훈련프로그램 | 거주시설 장애인 및 구직장애인 |
지역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경제교육 직업적 교육 등을 통해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 | 3월~11월 |
장애인일자리사업 | 근로장애인 | 취업 취약계층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 및 소득보장 지원을 위한 일자리제공 | 연중 |
일자리창출사업 | 근로장애인 | 지방자치인재개발원, 한국장애인개발원과 연계하여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카페 I got everything 운영 | 연중 |
직업재활네트워크 | 근로장애인 | 관내 직업재활사업수행기관과 연계하여 연합사업(근로장애인동아리) 실시. 기관간 네트워크 형성으로 장애인에게 적절한 서비스 제공 | 연중 |
직업재활실습 | 지역내 재활학과 학생 | 지역내 직업재활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재활상담사로써의 전문적인 마인드 형성 및 실무이해의 기회마련 | 7~8월 (연1회) |
고용인식개선캠페인 | 지역내 사업체 |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개선과 장애인 고용의 긍정적인 효과 제고를 위한 홍보 | 연1회 |
장애이해교육 | 완주군 교육기관 (만3세 이상) |
이론교육 및 체험활동을 통해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인식 형성 | 연중 화, 목요일 |
장애인식개선캠페인 | 완주군 지역주민 | 장애인식을 도모하여 지역 주민 모두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문화 선도 | 연중 연4회 |
장애이해강사양성교육 | 장애인, 장애인 가족 | 장애이해강사양성교육을 통해 장애이해교육의 효과성 및 장애인식개선 향상 | 연중 연10회 |